유치원 임용고시/각론

[유아임용] 혜야랑_탈맥락화된 언어

혜야랑 2020. 6. 9. 16:58


번스타인의 언어통제유형에서 탈맥락화된 언어라는 말이 나온다.

탈맥락이란 말은

'맥락에서 벗어난 것'을 뜻 한다.

그럼 탈맥락화된 언어

맥락(주변 상황이나 그림(글 외의 단서))에 벗어나서 글 만으로도 이해가 되는 언어를 말한다.

예를 들면,

"난 니가 지금 당장 책상 정리를 했으면 좋겠어"
는 탈맥락화된 언어이다.

주변 상황에 상관없이 그대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반대로 맥락화된 언어란

"참 잘한다~"
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정말 잘 해서 칭찬을 하는 경우와
못하는걸 비꼬기 위해서 하는 말인 경우가 있어

주변의 맥락(단서)을 고려해야하며, 그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탈맥락화된 언어란

말을 들었을 때 다른 맥락을 고려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말을 탈맥락화된 언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