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혜야랑입니다💕
저는 오늘 놀이이론에 대해 공부했어요
그 중 인지발달적 놀이이론에서 피아제와 비고츠키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해요.
피아제와 비고츠키는 둘다 인지발달이론가에요
하지만 피아제는 - 인지적 상호작용이론을 주장했고
비고츠키는 - 사회적 상호작용이론을 주장했죠!
즉, 피아제는 인지(사고)를 더 강조하였고, 비고츠키는 사회적(문화적)요소를 더 강조한 것을 알 수 있어요.
자, 놀이이론으로 들어와서
피아제는 유아가 인지가 발달하면서 자신의 인지발달 단계에 맞는 놀이가 이루어진다고 얘기해요
그럼 먼저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와 그에 따른 놀이발달 단계를 알아봅시다.
인지발달 | 놀이발달 | |
감각운동기 | 연습놀이 | 신체의 감각운동을 연습하는 즐거움 때문에 그 행동을 반복하며 놀이 |
전조작기 | 상징놀이 | 가작화 놀이(~인척) |
형식적 조작기 | 규칙있는 게임 | 인지능력이 발달되면서 하는 놀이(규칙) |
이 때 저는 연습놀이에서 어떻게 상징놀이로 넘어가게 되는건지 궁금했어요.
피아제는 연습놀이에서 단순히 신체를 가지고 놀거나 신체를 이용해서 사물을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놀이에서->
사물을 그대로 가지고 놀이하는 것이 아닌, 사물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상징적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상징놀이가 나타난다고 보았어요.
예를 들어보면
EX) 지우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사물에 거북이라는 다른 의미를 부여하여 거북이인 것 처럼 놀이하는 것을 상징놀이라고 말해요.
피아제의 주장을 다시 한문장으로 정리해보면
의미가 있는 것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상징적 전환이 나타나면서 상징놀이를 한다.
(이 문장은 나중에 비고츠키의 주장과 비교해서 암기하면 좋기 때문에 기억해 주세요~)
또한, 피아제는 유아가 동화와 조절을 통해 평형화를 이루며 인지가 발달 한다고 해요.
인지가 발달하면서 유아는 놀이를 통해 지식을 견고화 시키죠!
그럼 놀이는 동화의 상황일까요? 아니면 조절의 상황일까요?
저는 이게 너무너무너무 헷갈렸어요ㅜㅎㅎ
정답은 바로~~ 피아제는 놀이를 동화의 상황으로 보았어요!
동화 |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인지구조에 부합시키는 것 |
조절 |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자신의 인지구조를 변형시키는 것 |
동화의 예) 지나가는 고양이를 보고 "강아지다 안녕~"이라고 하는 것
조절의 예) 선생님이 "저건 꼬리가 길어서 고양이야"라고 하자 "아 저건 고양이구나!"라고 자신의 인지구조를 변형시키는 것
이 때, 유아의 놀이는 어떤 새로운것을 습득하는것이 아니라,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익숙한 것들을 반복해서 놀이하는 활동이므로 동화의 활동이라고 볼 수 있어요. (반복해서 놀이하며 자신의 지식을 견고화 시킴)
만약 유아가 '기차'를 알지 못한다면 기차놀이를 할 수 없겠죠?
피아제의 주장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면
유아의 놀이는 동화의 상황으로 기존의 가지고 있던 지식을 견고화하는 활동이다.
라고 볼 수 있어요ㅎㅎ
Plus. 상징적 전환과 동화도 연관성이 있는데
'내가 거북이라고 생각해서 그 물체를 거북이라고 부르는 것'은 동화의 작용이기 때문이에요.
#기출문제
2014년에 피아제의 놀이이론 중 상징놀이의 구성요소가 나왔어요.

제가 분석한 내용이에요. 여기서 다시 정리해 보자면
구성요소 | 내용 | 예시 |
탈 중심화 | 자기관련 행동에서 타인관련 행동으로 변화하는 것 |
-소현 : (빈 컵을 입에 갖다 대며 마시는 시늉을 하며) 아, 시원하다. ->자기관련 행동 -민채 : 아기도 목 말라.(인형의 입에 빈 컵을 갖다 대며 먹이는 시늉을 하며) 아가야, 이제 됐어? ->인형(타인관련 행동) |
탈 맥락화 | 유사한 사물이나 상황에 대체에서, 유사하지 않은 사물이나 상황 대체로 변화하는 것 |
- 진우 : (인형과 수건을 가지고 교사에게 다가가며) 선생님, 아기 업을래요. ->인형과 수건을 가지고 인형을 업는 행동을 했으므로, 유사한 사물이나 상황 대체 - 민지 : 나도 아기 업을래. 어? 인형이 없네. (쌓기 놀이 영역에 가서 종이벽돌블록과 보자기를 가져오며) 선생님, 나도 아기 업을래요. 이거 묶어 주세요 -> 종이벽돌블록이 인형을 대체 했으므로 유사하지 않은 사물 대체 |
통합 | 단일한 상징행동에서, 주제나 줄거리가 있는 복잡한 상징행동으로 조직화되는 것 |
- 지수 : 밥 먹기 ->단일한 상징행동 - 수지 : 우리 엄마 놀이 하자! (장 보고, 반찬 만들고, 상 차리고, 가족들과 밥먹기) ->엄마 놀이라는 주제나 줄거리가 있는 복잡한 상징행동 |
여기까지가 제가 이해한 피아제의 놀이이론인데요❤
원랜 비고츠키까지 올리려고 했는데 시간이 없어서 비고츠키는 다음에 연결해서 올리도록 할께요!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이 피아제 놀이이론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혹시 이것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함께 공부하면서 이번 유치원 임용고시 모두 합격해요 우리
화이팅!!!ㅎㅎ
'유치원 임용고시 >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임용] 혜야랑_ 교사론2 (유아 교사의 권리, 의무, 자질) (0) | 2020.04.07 |
---|---|
[유아임용] 혜야랑_ 교사론1(교직관,유치원 교사가 전문직인 근거,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핵심역량) (0) | 2020.04.06 |